전력용 콘덴서의 설치 위치를 알아보고 위치별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역률보상을 위해 전력용 콘덴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률은 휴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의 비를 의미합니다. 역률이 90% 이상되어야 효율적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역률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용 콘덴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력용 콘덴서를 고하게 사용하면 진상역률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전력용 콘덴서를 설정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1. 수전지점에 설치
- 전력을 공급받는 모선에 설치하는 경우 절전 효과는 없지만 계통전체에서 역률개선에 따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 특별고압 수전인 경우 시설비가 많이 들어가 경제적이지 못하다.
2. 변압기 2차측에 설치
- 변압기 2차측에 접속하는 경우 변압기의 1차, 2차 전류가 감소하므로 변압기의 손실 및 1차 선로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다.
- 구내 고압배전 방식이거나 부하 개별로 콘덴서 취부가 곤란한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3. 부하와 병렬로 설치
- 전동기 등의 부하에 접속하는 경우로서 부하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부하선로 손실, 변압기 손실, 변압기 1차 선로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어서 에너지 절감 효과가 가장 뛰어나다.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 및 정류기 기호 정리 (0) | 2023.02.03 |
---|---|
전기장과 자기장과 전자기학의 관계 (0) | 2023.02.02 |
변압기의 용도별 구조별 분류 (0) | 2023.02.01 |
변압기의 원리 (0) | 2023.02.01 |
모터의 외함 구조 분류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