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6 대지비 저항 측정기기 사용방법 3244형 대지비 저항 측정기 3244 형 대지비저항 측정기 대지비저항 측정 3244 형은 대지비 저항을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 편리한 측정기이다. 이 측정기는 대지비저항을 측정 계산하여 통화계의 전력유도를 방지하는데 이용한다. (1) 특징 트랜지스터 발진기 AC전위차 계형이다. 휴대용 측정기다. 깊이 200m까지 저항측정이 가능하다. 안정도가 높다. 대지의 저항 측정용 테스타로 사용한다. (2) 성능 측정방법 :Wenner의 4 전극법 작용원리 :Ac 전위차계법 전력공급방법 :트랜지스터화된 저주파 변환장치 ④ 측정 레인지 :0~0.3, 3, 30, 300Ω ⑤ 측정 다이얼 눈금 :0~30Ω, 0.5Ω/div 배율다이얼 :X0.01, X0.1, X1, X10. 안정도 :10~30Ω에서.. 2023. 3. 2. 배전 손실 오늘은 배전 손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전 손실이란? 1. 일반적인 전력계통에서의 전력손실은 송전거리 및 송전용량에 영향을 주는 전원의 입지 및 구성비, 전압에 관계하는 수용구성과 송배전전압, 역률에 관계하는 부하상태와 부하율, 배전방식에 따라 좌우된다. 2. 배전선로의 전력손실은 전압강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전력손실의 경감은 전압강하, 전압변동의 경감과 직결되며 선로의 저항손(옴손) 및 배전변압기의 저항손(동손)과 철손 으로 대별된다. 3. 선로의 저항손은 전류의 제곱과 전선의 저항에 비례하므로 전력손실을 경감시키는 기본은 전선의 전류밀도를 어떻게 감소시킬 것인가가 중요하다. 4. 배전선로의 손실경감책 적정 배전방식 채택 전류밀도의 감소와 평형 전력용 콘덴서의 설치 고압선로에서의 대책 저압선로에서.. 2023. 3. 1. 용접 작업의 안전점검 용접작업의 안점점검 사항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에 따른 점검사항 자격, 용접기, 홀더, 작업방법, 보호구 등에 따른 점검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격 1. 지명자 제도가 확립되어 있는가? 2. 지명자 명부가 완비되어 있는가? 또한 현실과 일치하는가? 3. 지명자는 표지를 붙이고 있는가? 4. 지명자 이외 사람이 작업하고 있지는 않는가? 용접기 1. 설치장소는 좋은가? 2. 스위치 및 스위치 상자는 완전한가? 또 퓨우즈는 규정의 것인가? 3. 용접기 외함의 접지는 좋은가? 4. 전격방지기는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가? 5. 1차측 및 2차측 캡타이어와의 접속부는 규정대로 부착되어 있으며 절연은 어떠한가? 6. 용접기 위에 비가 새지는 않는가? 홀더 1. 마모, 손상은 없는가? 2. 접속부는 .. 2023. 2. 28. 농형 유도전동기 오늘은 농형 유도전동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형 유도전동기란? 바구니 모양의 회자전가 들어있어 농형이라고 불리며 기동바식에 따라 종류가 나누어 집니다.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성는ㅇ이 뛰어나지만 기동시에 선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전동기 입니다. 기동법에 따른 분류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은 전전압 기동, 와이-델타 기동, 콘도르파 기동, 리액터 기동 등이 있습니다. 1. 전전압 기동(직입 기동) 전전압 시동은 농형 전동기의 가장 일반적이고 경제적인 시동법이지만 큰 시동 전류(전동기 정격 전류의 약 5~8배)가 시동 시에 흐르고 또 시동 토크가 제어되지 않는 그대로 시동되므로 시동 시에 전원에 미치는 쇼크, 기계에 미치는 쇼크가 문제되는 일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시동법은 감압 시동이고 이 시동법 .. 2023. 2. 27. 단상 유도전동기란? 오늘은 단상 유도 전동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상 유도 전동기 기동원리 단상 유도전동기는 1[HP]이하의 소형전동기로서 3상 유도전동기에 비하여 특성이 떨어지지만,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 3상 유도전동기가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데 반하여 단상 유도전동기는 가전기기들과 같은 일상제품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한편, 3상 유도전동기에는 3상의 교류를 사용하므로 각각의 상에 공급된 전류는 서로의 위상차를 갖고 자계를 발생합니다. 즉 각각의 상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공간상에서 합성한 자속의 파형은 동기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전동기를 회전시킵니다. 그렇다면 단상 전동기는 하나의 상만을 가지고도 회전자계를 얻는 것은 어떤 방법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과 같이 단상 권.. 2023. 2. 26. 변압기 극성의 이해 변압기 극성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변압기나 변성기 등 우리나라는 감극성을 표준으로 하고 있어 모든 제조사에서는 감극성으로 제작됩니다. 제작상 극성이 바뀔 경우 벡터의 방향이 180도 바뀌며 극성이 바뀐 상태에서 결선하게 되면 자속의 변화로 유기기전력 크기,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극성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변압기 극성 표시 극성을 표시하는 ●의 의미 1차측의 극성표시가 있는 단자에서 없는 단자로 전압강하가 되면 2차 측도 극성이 표시된 단자에서 표시되지 않는 단자로 전압강하된다. 차측에서 극성표시된 단자 쪽으로 전류가 흐르면 2차 측도 극성표시된 쪽으로 전류가 흐른다. 감극성 가극성 변압기의 감극성과 가극성은 각각 변압기의 입출력 측면에서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변압기의 감극성은 변압기의 입.. 2023. 2. 23. 거리계전기의 종류와 원리 거리계전기의 원리, 종류 거리계전기는 전압과 전류를 입력량으로 하여 전압과 전류의 비가 일정값이하로 될 경우 동작하는 계전기이다. 즉 단락 또는 지락점의 방향과 고장발생점까지의 전기적 거리(임피던스)를 판별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고장전류가 커서 빨리 동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거리계전기는 3단계로 나누어 진다. Zone1 : 보호대상의 85% 구간, 거의 순간적으로 동작 Zone2 : 보호대상의 150% 구간, 타 차단기 등의 부동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동작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활용 20Hz 정도 지연동작 Zone3 : 보호대상의 225% 구간, 100Hz 정도 지연동작 거리계전기의 종류는 임피던스형, 모우형, 리액턴스형, 오옴형, 오프셋모우형 등이 있다. 1. 임피던스형 계전기 계.. 2023. 2. 22. 단로기란? 1. 단로기 1-1.단로기의 기능 단로기는 단지 충전선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부하전류를 개폐하지 않는것을 말하며 다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기기의 점검 및 수리시 충전부를 전원에서 분리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송,수전 계통을 절체한다 송,수전 계통의 회로를 구분 한다 모선이나 회로를 접지 한다. 1-2. 단로기의 구성 가. 주도전부 Blade : 주회로 및 접지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주도전부분을 이르며 투입될때 고정접촉자와 접촉해서 통전부가 형성한다. 고정접촉자 및 BLADE 접속부: 은도금 또는 은판박이를 하며 충분한 접촉압력을 유지할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은도금 또는 은판박이 접촉편은 10,000회의 개폐조작후에도 은층이 접촉면에 남아 있어야 한다. 고정접촉자는 브레이드의 확실한 접촉을 용.. 2023. 2. 21.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